2021년 부동산 전망(feat.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안녕하세요.
자일리톨lover입니다.
오늘은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서 발간한 2021년 부동산 전망 리포트의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설정책저널과, 건설*주택 경기전망 세미나 두가지 자료를 참고하여 분석해보겠습니다.
원문 링크를 먼저 첨부드립니다.
www.ricon.re.kr/issue_journal.html?bn=5&seq=5031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건설정책저널은 비정기적으로 발행되는 건설전문 정보지로 건설이슈를 테마로 관련 논단과 함께 전문가 인터뷰, 건설동향, 유권해석 및 판례 특집과 건설정보 체크, 건설통계 등 각종 정보를
www.ricon.re.kr
www.ricon.re.kr/news_view.html?bn=10&seq=4996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내 용 대한건설정책연구원, 2021년 건설·주택 경기전망 세미나 개최 • 건설경기 전망: 2021년 건설수주 4% 감소, 건설투자 2% 증가, 전문건설업 계약액 1% 증가 • 주택시장 전망: 2021년 매매(전
www.ricon.re.kr
주택시장 가격 부분에서 가장 관심있게 볼, 아파트 매매지수 부분을 보겠습니다.
위의 그림과 글을 보면,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동행지수는 꾸준히 상승, 동행지수는 코로나 이후 소폭 하락하였으나, 경제심리지수는 대폭 하락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경제심리지수와 다르게 아파트 매매지수는 꾸준히 상승하는 것으로 볼 때, 아파트 가격은 자산의 인플레이션이 이미 지속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전국, 수도권, 서울의 아파트 가격 동향을 살펴보면, 서울의 상승패턴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지방, 수도권에서 반복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상승장이 유지되는 한, 이러한 패턴의 종속성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어느순간 하락장이 찾아오지 않는 이상 이 흐름을 지속하여 모든 곳에서 지속적인 시세상승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미분양 추이를 보면, 서울과 수도권 모두 미분양이 제로에 가깝게 수렴하고 있으며, 이는 공급량 감소화 각종 규제로 인한 수요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미분양이 증가하기 위해선는 매물 적체, 과다 공급 등이 선제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것들이 전혀 없기에 미분양 물량은 제로에 가깝고, 향후 공급물량 또한 없기에 부동산 가격의 상승은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보고서를 처음부터 끝까지 한번쯤 읽어볼 것을 추천드리며, 대략적인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지역별로 반응 속도가 다르며, 시세 견인/시세 추종 하는 지역과 유형이 다르기에 언제까지 지속될 지 모르는 상승장 속에서 꾸준한 공부와 지속적인 동향 파악에 기반하여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구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 자일리톨lov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