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크랩

지표를 활용한 저평가, 상승예정 지역 찾는법

by 자일리톨lover 2021. 9. 2.

지표를 활용하여 저평가, 상승예정지 찾는법.

 

활용 지표.

1. 매매지수

2. 미분양

3. 입주물량

4. 청약경쟁률

5. 거래량

 

청약경쟁률은 시장의 심리를 나타내고

거래량은 매매지수를 만들어낸다.

 

매매지수가 반등을 시작할 때

미분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사라져갈 때

청약 경쟁률이 높을 때

공급이 적을 때

거래량이 늘 때

 

이러한 상황이 모두 발생한다면, 그 지역은 완벽한 상승.

최소 몇개 이상 해당될 때 진입하자! 라는 기준을 가지고 투자할 것.

 

 

과거 10년의 데이터를 통해.

매매지수

미분양

입주물량

청약경쟁률

거래량

지표들이 서로 어떤 관계를 가지며 움직였나를 보고서, 미래를 예측해보자.

 

또한, 향후 미래를 볼 때,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는가,

일자리가 생기는가

역시 중요하게 봐야할 지표이다.

특히 지방의 경우 지표들이 좋아도 일자리, 인구 등으로 인해 탄탄한 수요를 얻지 못한다면 문제가되기 때문.

 

 

지표 활용 연습.

ex. 군산

https://www.r-one.co.kr/rone/resis/statistics/statisticsViewer.do?menuId=HOUSE_21111

2005~2008 상승기.

2008~2011 보합.

2012~2019말 하락기.

이후 상승전환 추세 보임

아실 -> 입주물량 -> 지역선택 -> 연간 입주물량
부동산지인 -> 수요/입주 -> 지역선택

2005 공급물량 부족.

2006~2007 공급물량 적정.

2008~2009 공급물량 과다. (해소되기까지 2년정도 걸릴것으로 보며, 매매가격지수와 비슷)

2010~2012 11 보합.

2013 공급물량 부족

2014~2018 공급물량 과다

2019~2019 공급물량 부족.

부동산지인 -> 지인 빅데이터 -> 지역 선택 -> 미분양

2010~2012 미분양 감소

2013 미분양 증가 시작

2015 악성미분양 증가 시작

2016 중순 미분양 대량

2019말~ 미분양, 악성미분양 감소추세

아실 - 분양 - 해당 지역

최근 청약경쟁률 모두 두자리수. -> 시장 인기 좋음.

부동산지인 -> 지인 빅데이터 -> 지역 선택 -> 거래량

2012~2019말 거래량 잠잠하다가

2019말 이후 거래량 급증.

시장의 인기는 청약경쟁률과 미분양 패턴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거래량을 통해 나타나고, 매매지수를 유발한다.

 

 

 

 

추가적인 정보. 

부동산지인 -> 지역분석 -> 지역 선택

 

인구수 또한 중요하지만, 아파트를 사는 단위는 세대이므로, 인구수 감소에도 세대수가 증가한다면 수요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볼 수 있을듯.

부동산지인 -> 지인 빅데이터 -> 지역 선택 -> 인구/세대수

 

부동산지인 -> 지인 빅데이터 -> 지역 선택 -> 인구/세대수

 

 

https://blog.naver.com/positive_zm/222414537050

 

흐름분석 저평가지역 찾기

한국부동산원/부동산지인에서 제공하는 지표로 저평가지역을 찾아보고, 어디가 상승의 초입일지 추측해보는...

blog.naver.com

 

댓글